Git 설치 후 초기 설정
Git은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 코드 변경 사항을 추적하고 협업을 지원합니다.
로컬 저장소에서 작업하고, 원격 저장소(GitHub 등)와 동기화할 수 있습니다.

Git 초기화 및 기본 명령어
Git을 사용하려면 먼저 프로젝트 폴더에서 Git 저장소(repository)를 초기화해야 합니다. 위 이미지에서는 다음 과정이 수행되었습니다.
1. 폴더 이동
cd calendar/
- 현재 터미널에서 calendar 폴더로 이동합니다.
- Git 저장소를 생성할 프로젝트 디렉터리를 지정해야 합니다.
2. Git 저장소 확인 (초기 상태)
ls
- ls 명령어를 사용하여 폴더 내 파일을 확인했으나 아무것도 없는 상태입니다.
ls -la
- -la 옵션을 추가하여 숨김 파일도 포함하여 목록을 확인했습니다.
- 아직 .git 폴더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입니다.
3. Git 저장소 초기화
git init
- git init 명령어를 실행하면 현재 폴더가 Git 저장소로 초기화됩니다.
- 실행 결과:
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 in C:/Users/user/calendar/.git/
- calendar 폴더 내에 .git이라는 숨김 폴더가 생성됩니다.
- .git 폴더에는 Git이 버전 관리를 위해 사용하는 내부 데이터가 저장됩니다.
4. Git 저장소 확인
ls -la
- 다시 ls -la 명령어를 실행하면 .git 폴더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Git 기본 개념
Git은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 프로젝트의 변경 사항을 추적하고 협업을 도와줍니다.
- 로컬 저장소(Local Repository):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관리하는 Git 저장소
- 원격 저장소(Remote Repository): GitHub, GitLab, Bitbucket 같은 클라우드 저장소
- 스테이징 영역(Staging Area): 커밋할 파일을 임시로 보관하는 공간
- 커밋(Commit): 변경 사항을 저장소에 기록하는 작업
- 브랜치(Branch): 독립적인 작업 공간 (기본 브랜치는 master 또는 main)
Git 기본 사용 흐름
초기화 이후 Git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변경할 파일 생성 및 확인
touch README.md # 새 파일 생성
git status # 현재 변경 사항 확인
2. 변경된 파일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
git add README.md # 특정 파일 추가
git add . # 모든 변경 사항 추가
3. 변경 사항 커밋 (저장)
git commit -m "첫 번째 커밋"
4. 원격 저장소 연결 (GitHub 예시)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사용자이름/저장소이름.git
5. 변경 사항 원격 저장소로 푸시
git push -u origin master # 또는 main
결론
- git init을 실행하면 프로젝트 폴더가 Git 저장소로 변환됩니다.
- .git 폴더는 Git의 핵심 데이터(커밋 기록, 브랜치 정보 등)를 저장합니다.
- 이후 git add, git commit, git push 등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버전 관리를 수행합니다.
'Windows 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에서 파이썬 가상환경 만들기 및 PowerShell 오류 해결법 (1) | 2025.04.24 |
---|---|
PPT와 PPTX의 차이점 (1) | 2025.03.22 |
Chrome 확장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본 검색 엔진을 ChatGPT로 변경 (1) | 2025.03.13 |
VS Code에서 Python 인터프리터 선택하는 방법 (1) | 2025.03.12 |
VS Code 확장 프로그램(Extensions) 소개 (2)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