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하드웨어

[VMware] 네트워크 관리 도구, Virtual Network Editor

windows4silver 2025. 1. 21. 13:53

VMware Workstation의 Virtual Network Editor

다음 그림은 VMware Workstation의 Virtual Network Editor 화면입니다. 이 도구는 VMware 가상 머신(VM)에서 사용하는 가상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곳입니다. 아래에서 주요 설정과 각각의 네트워크 모드에 대해 알아봅니다.

VMware의 Virtual Network Editor


1. 네트워크 이름과 유형

  • VMnet0 (Bridged):
    • Bridged 모드는 가상 머신이 실제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된 것처럼 동작합니다.
    • 가상 머신은 물리적 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장치와 동일한 서브넷에 속하게 됩니다.
    • DHCP는 물리적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며, VM은 물리적 네트워크의 다른 장치와 동일하게 작동합니다.
  • VMnet1 (Host-only):
    • Host-only 모드는 가상 머신과 호스트(실제 컴퓨터) 간에만 통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분리합니다.
    • 외부 네트워크와는 연결되지 않습니다.
    • 이 모드에서는 VMware에서 제공하는 DHCP 서비스를 사용해 VM에 IP 주소를 자동 할당할 수 있습니다.
    • 스크린샷에서는 192.168.78.0 서브넷이 할당되어 있고, DHCP도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 VMnet8 (NAT):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모드는 가상 머신이 호스트의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 VM은 VMware 내부 네트워크에서 DHCP를 통해 IP를 받고, 호스트의 IP 주소를 공유하여 외부로 나갑니다.
    • 스크린샷에서는 192.168.111.0 서브넷이 NAT 네트워크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2. 각 네트워크 모드의 특징

Bridged (VMnet0)

  • 특징:
    • 가상 머신이 물리적 네트워크와 동일한 서브넷에 연결됩니다.
    • 물리적 네트워크와 동일한 IP를 가져가며, 네트워크 환경이 투명하게 작동합니다.
  • 사용 사례:
    • 가상 머신을 실제 네트워크의 다른 장치와 직접 통신하게 하고 싶을 때.
    • 특정 서버 역할(예: 파일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사용하려는 경우.

Host-only (VMnet1)

  • 특징:
    • 가상 머신이 외부 네트워크와 완전히 분리되어, 호스트(로컬 컴퓨터)와 가상 머신 간의 통신만 허용.
    • VMware에서 제공하는 DHCP 서버를 사용해 IP를 자동 할당.
  • 사용 사례:
    • 외부 네트워크와 격리된 테스트 환경을 구성하고 싶을 때.
    • 가상 머신끼리만 통신해야 하거나, 보안이 중요한 환경에서 사용.

NAT (VMnet8)

  • 특징:
    • 가상 머신이 호스트의 IP 주소를 사용하여 외부 네트워크에 접근.
    • 외부 네트워크에서 가상 머신은 보이지 않으며, NAT를 통해 트래픽이 전달됩니다.
  • 사용 사례:
    • 인터넷 접속이 필요한 환경에서 간단한 설정으로 가상 머신을 외부에 연결하고 싶을 때.
    • 가상 머신을 외부로부터 숨기고 싶을 때.

3. 스크린샷의 주요 설정 설명

VMnet8 (NAT) 설정:

  • Subnet IP: 192.168.111.0
    • NAT 네트워크가 사용하는 서브넷 주소입니다.
    • 가상 머신은 이 서브넷에서 IP를 할당받습니다.
  • Subnet Mask: 255.255.255.0
    • 서브넷 마스크는 네트워크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이 설정은 192.168.111.0 네트워크에 최대 254개의 장치를 연결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 DHCP 활성화:
    • VMware의 DHCP 서버가 활성화되어 있어, 가상 머신에 IP를 자동으로 할당합니다.
  • NAT 설정:
    • NAT를 통해 가상 머신이 호스트의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외부 네트워크(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4. 주요 설정 확인 방법 및 활용

  1. 서브넷 변경:
    • 필요에 따라 서브넷을 사용자 정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92.168.111.0 대신 다른 서브넷(예: 192.168.50.0)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Subnet IP"를 변경하면 네트워크 충돌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2. DHCP 설정:
    • "DHCP Settings" 버튼을 통해 IP 주소 할당 범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예: 192.168.111.2 ~ 192.168.111.254 범위로 설정.
  3. NAT 설정:
    • "NAT Settings" 버튼을 클릭하여 NAT 트래픽을 위한 포트 포워딩 규칙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예: 특정 가상 머신에 대해 HTTP(포트 80) 트래픽을 전달하도록 설정.

5. 사용 사례에 따른 설정 선택

  • 외부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필요한 경우:
    • NAT 모드(VMnet8)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연결.
    • Bridged 모드를 사용해 물리적 네트워크와 직접 통신.
  • 외부 네트워크와 격리된 내부 테스트 환경:
    • Host-only 모드(VMnet1)를 사용.
    • 테스트 환경에서 다른 VM과만 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