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 및 편집

출판문화산업진흥원 공고문에 의한 한 오디오북의 정의와 설명

windows4silver 2025. 3. 15. 23:58

공고문에 의한 한 오디오북의 정의와 설명

공고문 「2025년 제1차 오디오북 제작 지원 사업」을 기준으로 판단했을 때, 오디오북은 다음과 같은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1. 오디오북의 정의

공고문에서 정의된 오디오북은 출판된 도서 또는 미출간 원고를 성우(내레이터)가 직접 녹음하여 음성 콘텐츠로 제작한 것을 의미합니다. 단순한 음성 파일이 아니라, 출판된 책의 내용을 독자(청취자)가 들을 수 있도록 음성으로 변환한 디지털 콘텐츠입니다.


2. 오디오북의 필수 조건

공고문에 따르면, 오디오북은 아래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① 출판된 도서 또는 미출간 원고 기반

  • 「출판문화산업 진흥법」에 따라 ISBN을 발급받은 간행물(종이책, 전자책) 또는 완결된 미출간 원고를 바탕으로 제작해야 합니다.
  • 학습 교재, 정기간행물, 일부 챕터만 발췌한 콘텐츠 등은 오디오북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② 사람의 목소리로 녹음 필수

  • 반드시 사람이 직접 읽고 녹음해야 하며, AI 음성(합성음)을 사용한 오디오북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 성우(내레이터)를 기용하여 녹음해야 하며, 녹음 과정에서 스튜디오 대여, 엔지니어링, 마스터링 등의 후처리 작업이 필요합니다.

③ 특정 오디오 포맷으로 제작

  • MP3 또는 WAV 형식으로 제작해야 하며, 소비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일정한 품질을 유지해야 합니다.

④ 유통 및 보급

  • 제작된 오디오북은 유통사에 등록하여 소비자가 접근할 수 있어야 합니다.
  • 국립중앙도서관에 반드시 납본해야 하며, 기증 의사가 있을 경우 국립장애인도서관에도 기증해야 합니다.

3. 오디오북의 주요 구성 요소

공고문을 기반으로 한 오디오북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성우(내레이터) 녹음: 사람이 직접 낭독한 음성 파일
  2. 배경 음악(BGM) 및 효과음(필요시 적용): 저작권 확보 필수
  3. 음질 보정 및 편집(마스터링 작업): 녹음 후 편집 작업 필수
  4. 오디오 파일 형식: MP3 또는 WAV
  5. 유통 등록: 온라인 오디오북 플랫폼 및 유통사 등록
  6. 국립중앙도서관 납본: 필수 조건

4. 공고문 기준에서 본 오디오북의 특징

  • 전문 성우가 낭독하는 고품질 음성 콘텐츠
  • AI 성우 음성 합성은 불가
  • ISBN을 부여받은 책(또는 완결된 원고)이어야 함
  • MP3, WAV 포맷으로 제공
  • 출판사가 직접 유통 및 관리해야 함
  • 국립중앙도서관에 납본해야 함

5. 공고문을 바탕으로 본 오디오북의 활용

공고문에 명시된 지원 대상과 요건을 보면, 오디오북은 다음과 같은 용도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1. 독서 접근성이 낮은 사람을 위한 대안
    • 시각장애인, 노인, 바쁜 직장인 등이 활용할 수 있음.
  2. 출판 시장 확장 및 디지털 콘텐츠 강화
    • 기존 종이책 및 전자책과 함께 오디오북으로 출판사 수익 모델 다각화 가능.
  3. 교육 및 자기계발 도구
    • 독서의 시간적 제약을 줄이고 이동 중에도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
  4. 문화 콘텐츠로서의 가치
    • 전문 성우가 참여하는 오디오북은 단순한 책 읽기가 아니라 공연적인 요소까지 포함될 수 있음.

결론

공고문에서 정의된 오디오북은 단순한 음성 콘텐츠가 아니라, 출판된 도서나 원고를 사람이 직접 읽어 녹음한 음성 콘텐츠로서, 특정한 유통 및 납본 조건을 충족하는 고품질 오디오 자료입니다. AI 음성을 활용한 자동화된 오디오북과는 다르며, 출판사 및 성우가 직접 제작하고 유통해야 하는 형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