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shed Changes란
Stashed Changes란 Git에서 작업 중인 변경 사항을 임시로 저장(stash)하는 기능을 의미합니다. 이는 현재 작업 중인 변경 사항을 커밋하지 않고도 저장소를 깨끗한 상태로 되돌리거나 다른 브랜치로 전환할 때 유용합니다.
주요 특징
- 임시 저장:
- Stash를 사용하면 현재 작업 중인 파일의 변경 사항을 임시로 저장하고, 저장소를 이전 상태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 이때, 변경 사항은 커밋되지 않고 "Stash"라는 별도의 공간에 저장됩니다.
- 브랜치 전환 지원:
- 브랜치를 변경해야 하지만 변경 사항이 커밋되지 않은 상태일 경우, Git은 이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 이런 상황에서 Stash를 사용하면 변경 사항을 임시로 저장하고, 자유롭게 브랜치를 전환한 뒤 다시 변경 사항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 복원 가능:
- Stash에 저장된 변경 사항은 언제든지 다시 불러와 작업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주요 명령어 (CLI 기준)
- Stash 저장: git stash
- Stash 확인: git stash list
- Stash 복원: git stash apply 또는 git stash pop
- 특정 Stash 삭제: git stash drop
- 모든 Stash 삭제: git stash clear
GitHub Desktop에서의 사용
GitHub Desktop에서는 Stashed Changes가 GUI로 표시되며, Stash에 저장된 변경 사항을 쉽게 확인하거나 복원할 수 있습니다. 현재 화면에서는 "View stash" 버튼을 통해 Stashed Changes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용 예시
- 상황: 작업 중인 코드가 있지만, 갑자기 다른 작업(예: 긴급 버그 수정)을 해야 하는 경우.
- 현재 변경 사항을 Stash로 저장합니다.
- 긴급 작업을 수행한 후, Stash를 복원하여 기존 작업을 이어갑니다.
Stash는 작업의 연속성을 유지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브랜치를 전환하거나 저장소를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출판 및 편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rivener에서 계층적 문서 정리 (2) | 2025.02.01 |
---|---|
EPS(Encapsulated PostScript), 이미지 파일 (1) | 2025.01.26 |
포토샵에서 메모 사용 방법 (0) | 2025.01.25 |
폰트에서 '세리프'와 '산세리프'의 차이점 (94) | 2025.01.01 |
폰트 'Arial' 소개 (48) | 2024.12.31 |